제조업의 혁신,
똑똑한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시작한다

스마트공장(Smart Factory)

facebook twitter 카카오톡

시험인증_Moment

우리나라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었던 제조업이 장기적인 침체기에 빠졌다. 수출 사상 최초 6,000억 불 달성, 외국인 투자 250억 불 돌파 등 국가 혁신성장의 성과가 싹트고 있지만, 제조업은 생산 감소·고용 감소·산단 가동률 하락이 지속되면서 제조업 재도약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절실하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발표해, 제조업이 다시 국가 경제의 중심축이 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제조 중소기업이
‘스마트’해진다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의 핵심 골자는 ‘스마트공장’이다. 스마트공장이란 설계·개발, 제조, 유통·물류 등 생산 전체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생산성, 품질, 고객 만족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지금은 4차 산업혁명 시대다. 기술의 발전은 사람의 손 그리고 뇌를 대신할 만큼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다. 이를 생산 현장에 접목해 불량률을 현저히 낮추고 설비 가동률을 대폭 증가시키는 등 기업의 효율적 운용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스마트공장 도입에 사활을 건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제조업 분야가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여러 가지 계획을 구상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3만 개를 구축하고자 한다. 당초 계획은 2만 개였으나 3만 개로 확대되었다.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본이 상당히 필요하기 때문에, 설비 투자자금 2조 원을 지원하고 3,000억 원 규모의 스마트공장 구축·공급기업 전용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제조 중소기업이 새로운 도전과 도약을 함에 있어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노력이다.

스마트공장 공급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전국 단위의 제조 데이터 수집과 분석, 활용이 가능한 빅데이터 센터와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중기벤처부 연구개발(R&D) 자금의 20%를 공급 기업에 지원하고,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스마트공장 쇼케이스도 구축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은 꼭 필요한 일이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작지 않다. 바로 일자리 감소에 대한 걱정이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2년까지 3만여 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했을 때, 총 6만 6,000개의 고용효과를 불러오리라 예측했다. 2016년 기준,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의 일자리가 평균 2.2명 증가했다는 수치가 근거다. 생산 현장에서 일하는 인력은 줄어들지 몰라도, ICT 관련 인력, 운영관리 인력 수요가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이다. 따라서 정부는 향후 스마트공장 관련 인력 수요 증가를 대비하여, 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전문학사 과정의 스마트공장 계약학과 설치 등을 통해 스마트공장 운영 인력을 대폭 양성할 예정이다.

제조혁신의 거점,
스마트 산업단지

이 계획은 특히 제조업이 밀집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 산업단지 1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스마트 산업단지는 ICT 기반 지능화 서비스를 활용해 첨단 신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입지 여건과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된 기반기술(요소기술)의 핵심은 ‘AICBM’이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이다. 여기에 스마트 그리드, 5G(세대) 통신, 스마트 시티까지 결합한 것이다. 스마트 산업단지는 개별 공장의 스마트화를 뛰어넘어 산업단지를 기업 경쟁력 제고의 플랫폼으로 만들기 위한 구상이다. 이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스마트 산업단지 기획단을 구성해 운영한다. 더불어 스마트 산업단지 내 공장 간, 산학연 간 데이터와 자원을 연결·공유·활용할 수 있는 산단형 네트워크가 구축된다.

이러한 스마트 산업단지 육성 계획 중에는 근로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내용도 포함돼 있다. 문화·체육 시설이 한데 모인 복합문화센터를 건립해 근로자 친화형 공간을 조성한다. 공동 어린이집 확대해 걱정 없이 아이를 양육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또한 기업의 고용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숙사 임대료를 지원하거나 임대형 행복주택을 건립할 것이다. 더불어 좋은 일자리를 꾸준히 창출하기 위한 노력으로 산업단지 내 휴·폐업 공장을 리모델링해 스마트창업센터를 건립해 입주공간, 오픈랩, 컨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사람이 중심이다,
노동친화형 스마트공장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스마트공장이 도입된 후, 약 5,000개 공장의 생산성이 30% 증가하고 불량률은 45% 감소했다. 원가는 15% 감소하고 산업재해는 22% 줄었다. 산업재해의 감소는 스마트공장의 안전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정부는 앞으로 위험·유해 작업환경을 개선해 산업재해를 30% 줄이는 노력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에는 ICT 기술이 접목된다. 고위험 업종에 로봇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스마트공장 지원 대상에 노동자의 위험을 줄일 시설과 장비를 추가하는 계획도 세웠다.

소공인에게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소공인 복합지원센터’도 조성한다. 더불어 스마트공장 구축 과정에 노동계가 참여해 직무개발 등을 결정하는 노동친화형 스마트공장을 도입한다. 이를 위해 지역별 경제계, 노동계, 대학 등이 참여하는 제조혁신 협의체를 구성하고 성공사례를 발굴·확산하는 제조혁신 운동을 추진한다.

민간, 지역, 정부가 한마음으로
제조혁신 추진체계 마련

스마트공장 3만 개 구축의 기대효과는 일자리 6만 6,000개 창출, 매출18조 원 증대다. 특히 산업재해가 감소되고 근로시간이 단축되고 유연근무제를 확산하면서 ‘청년이 좋아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목표를 이루는 데까지 기업의 도전만 필요한 게 아니다. 민간, 지역, 정부가 모두 참여하여 제조업 상시혁신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이에 정부는 스마트공장의 구축과 사후 관리를 전담할 제조혁신센터를 지역에 마련하고, 관계부처와 민간이 함께 참여해 정책 통합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제조혁신 추진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지금, 우리나라 제조업 분야는 획기적인 터닝포인트가 필요한 시점이다. 스마트공장 구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제조업의 미래는 분명 오늘과 확연히 다른 모습일 것이다. 스마트공장에 대한 구상과 노력을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가 어떻게 바뀔지 기대된다.

문의 : 디지털산업본부 디지털 R&BD센터 권종원 선임연구원(02-860-1414/kjw79@ktl.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