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의 안전성을 위한 최적의 시험인증기관
Customer makes KTL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분야 국제 시험인증기구인 OCA(Open Charge Alliance)로부터 전기차 충전 통신 규약인 개방형 충전 프로토콜(이하 OCPP)의 공인시험기관으로 지정되었다고 31일 밝혔다.
* OCA(Open Charge Alliance)
-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개방성 및 상호운용성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시험인증기구
- OCPP 표준 통신 규약(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의 호환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OCPP(Open Charge Point Protocol)
- 전기차 충전소와 중앙 관리 시스템 간의 통신을 표준화하는 개방형 통신 규약(프로토콜)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기차 충전 표준 통신 규약(프로토콜) 중 하나.
- 제조사(벤더) 독립적인 방식으로 개발되어, 특정 제조사(벤더)나 충전기 브랜드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충전기 브랜드와 충전 네트워크가 원활하게 상호 운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충전기와 관리 시스템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해 일관된 통신 방식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는 OCPP를 표준 통신 규약(프로토콜)으로 채택하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정부(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KTL을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검증 및 실증형 시험인증 기반구축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하고, 전기차 충전기 제품에 대한 글로벌 시험인증 지원 기반구축에 나섰다.
* 과제명 :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검증 및 실증형 시험인증 기반구축
- (주관부처)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주관기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 (참여기관)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자동차연구원
- (사업내용)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충전기 및 충전 인프라 해외 시험인증 시스템 구축
- (사업기간/사업비) 2024년 ~ 2028년(5년) / 165억원(국비 100억, 지방비 20억, 민자 45억)
이번 지정으로 KTL은 OCPP 1.6 및 2.0.1 버전에 대한 적합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충전기와 충전기 관리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검증, ▲통신 안전성 및 신뢰성 시험, ▲보안성 평가(암호화, 인증, 데이터 무결성) 등을 독자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 OCPP 1.6
-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으로 기본적인 스마트 기능이 있는 충전 시스템
* OCPP 2.0.1
- 차세대 표준으로 더 안전한 최신 충전 시스템
- OCPP 1.6 대비 보안이 강화되고, ISO 15118(Plug&Charge)을 지원하며 사용자 경험 대폭 개선
특히 정부에서는 지난 2021년부터 환경부 보조금 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기업에게 OCPP 1.6 기반의 충전기와 충전기 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의무화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시험인증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KTL의 OCPP 공인 시험기관 지정으로 국내 기업들은 인증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제품 출시 일정을 앞당기는 등 신속하고 편리한 지원을 받게 될 전망이다.
KTL은 국내 유일 공공 종합 시험인증기관으로써 전기차 충전기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특히, 이번 지정을 계기로 기존의 안전 인증(KC마크 인증), 형식승인, 전자파 적합성 시험 등과 함께 전기차 충전기 분야 원스톱(One-stop) 시험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국내 전기차 충전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며 공공 및 민간 충전 기반 시설 확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TL 송태승 디지털산업본부장은 ‶이번 OCPP 공인시험기관 지정은 전기차 충전 관련 인증을 준비하는 기업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KTL은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의 시험인증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TL은 전기차 충전 분야 외에도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지능형 전력기기 등 차세대 전력 산업 전반에 걸쳐 국제 표준 기반 시험인증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 기업들의 해외진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
-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전력 생산, 소비, 저장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 기존 전력망이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라면, 스마트그리드는 양방향 소통과 자동 제어를 통해 전력 효율을 극대화한다.
*지능형 전력기기(Smart Power Device)
-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력 사용을 최적화하는 전력 기기
콘텐츠 담당자